Surprise Me!

[아는기자]푸틴 절대권력 흔들…‘실각설’까지 제기되는 이유?

2023-06-26 54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외교안보국제부 이다해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이 기자, 지난 주말 이틀 동안 러시아에 무슨 일이 있었던 건가요? <br> <br>네, '바그너 그룹'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에서 상당한 병력을 차지하는 러시아의 민간 용병 회사입니다. <br> <br>이 그룹의 수장이죠 프리고진이 러시아 정규군으로부터 공격을 당했다며 현지시간 23일, 무장 반란을 일으켰습니다. <br> <br>러시아 당국은 곧바로 프리고진에 대해 체포령을 내렸고 바그너 그룹은 러시아 남부도시를 7시간 여 만에 점령한 뒤, 수도 모스크바와 200km 떨어진 곳까지 진격했습니다.<br> <br>허자먼 러시아 우방국인 벨라루스 대통령의 중재로 협상이 타결되면서 모스크바 턱밑까지 진격했던 프리고진의 반란은 하루만에 끝나게 된 겁니다. <br> <br>Q2.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괜찮은 건가요? <br> <br>일단 러시아 언론들은 푸틴 대통령이 크렘린궁에서 정상 업무를 보고 있다며 일부에서 제기된 피신설을 일축했습니다. <br> <br>모스크바 인근 지역에 대테러 작전 체제가 발령 됐고 오늘 하루 임시 공휴일이기도 한데요, 조금 전 작전 체제는 해제되면서 본격적으로 정상화 작업이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반란 사태가 종료된 지 하루가 지나도록 푸틴 대통령은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습니다.<br><br>러시아 국영 방송이 인터뷰 영상을 공개했지만 사전 녹화 방송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 <br><br>Q3. 그런데 실각설도 나오고, 미국에선 "전례 없는 균열이다"는 평가도 나와서 정말 아무 일이 없었나 싶습니다. <br> <br>네, 서방 언론들 평가를 보면 '21세기 차르'였던 푸틴이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. <br><br>쿠데타를 겪은 후 물러난 옛 소련 지도자들의 사례가 있기 때문입니다. <br><br>1991년 고르바초프 당시 대통령은 쿠데타를 겪은 뒤 4개월 만에 사임했고, 옐친 대통령도 1993년 탄핵 위기에 몰려 진압을 했지만 이후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6년 뒤에 임기 6개월을 남겨두고 푸틴 대통령에게 자리를 넘겨줬습니다. <br> <br>[엄구호 / 한양대 국제대학원 러시아학과 교수] <br>"푸틴 정권의 침몰이 가능성도 높아져 불확실성이 제고된 것이고, 지금부터 몇 달 또는 심지어 한달이 푸틴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시기다." <br> <br>Q4. 프리고진이 해임을 요구한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모습을 드러냈다고 하는데 여전히 의문이 제기 되죠. <br> <br>러시아 국방부가 쇼이구 장관이 군부대를 방문했다면서 관련 영상을 오늘 공개했습니다. <br><br>반란 사태 이후 처음 나온 모습으로 보이기는 한데요, 해당 영상은 소리가 나오지 않고, 언제 촬영된 것인지도 밝히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> <br> 경질될 거란 관측도 나왔지만 러시아 국방부는 공개 행보로 건재를 과시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Q5. 프리고진도 사라졌습니다. 벨라루스로 망명했다는데 이 곳은 러시아의 최 우방국 아니겠습니까. <br> <br>일단 벨라루스 망명 조건으로 신변 안전 보장에 대한 합의가 있었기 때문인데요, 현재 어디 있는지 확인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외신들도 프리고진이 결코 안전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는데요, 특히 푸틴 대통령과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최소 3번 이상 통화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그의 신변에 더 관심입니다. <br> <br> 반역자를 용서하지 않는 푸틴의 성향에 따라 암살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><br> 중앙아프리카에서 광물 채굴 사업을 한 프리고진의 과거 이력을 감안해 아프리카로 떠났을 거란 추측도 나옵니다.<br><br>Q6. 우크라이나 전쟁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. <br> <br> 당장 정세가 바뀌지 않더라도 우크라이나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. <br><br>앞서 리포트에서 보셨듯이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도 러시아에 균열이 발생했다면서 우크라이나에게 온 기회라고 진단했는데요, 아직까지 대반격 성과를 내지 못하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가 흔들리는 틈을 타서 서방에 추가 무기지원을 적극 요청하고 반전을 꾀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이다해 기자였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